고분자물성1 [고분자기초] 유리전이온도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고분자는 긴 실같이 작은 단위가 수없이 반복 연결되어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주 길기 때문에 완전히 곧게 펴져있기는 어렵고, 접혀 있는 부분이 생긴다. crystalline? amorphous? viscoelasticity? 사슬이 촘촘하게 접히게 되면 마치 결정과 같이 고밀도(결정, crystalline)로 모여 있을 것이고, 덜 접힌 부분은 아무래도 저밀도(비결정, amorphous)이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고분자는 고체의 탄성을 가지는 crystalline 부분과 액체의 점성을 나타내는 amorphous한 부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점탄성(viscoelasticity)이라고 한다. 유리전이온도란? 보통의 물질은 고체상태에서 녹는점(melting t.. 2021. 11.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