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

[고분자기초] 점탄성(viscoelasticity) | 저장 및 손실 탄성률(storage and loss modulus) 물질은 상태에 따라 힘에 대해 다른 반응을 보인다. 힘을 가했을 때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탄성(elasticity)이라고 하고, 힘을 가했을 때 유체의 경우 힘에 의해서 흐르게 되는 점성(viscosity)을 가진다. 고분자의 경우 힘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성질과 흐르려는 성질을 동시에 지니는데, 즉, 점탄성을 가진다는 것은 액체로서의 성질과 고체로서의 성질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시간 또는 온도에 따라서 이러한 점탄성이 변하는 정도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할 때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잘 파악하는 것이 고분자의 가공(압출, 사출, ...)에 있어 중요하다. * 압출(extrusion): 가래떡 뽑기 * 사출(injection): 붕어빵 찍기 (틀에.. 2021. 11. 14.
[머신러닝] 베이지안 최적화(Bayesian optimization): 베이즈 정리 입력값과 출력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가 엄청나게 복잡해서, 예를 들어, 입력값을 넣으면 계산해서 결과를 얻는 데까지 1시간이 걸린다고 하자. 이때 출력값을 최대로 하는 입력값을 찾고 싶다면, 즉 변수를 최적화하고 싶다면? 주어진 입력값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조합을 도출하고, 이를 함수에 넣어서 값을 보고, 이러한 출력값들을 봐가면서 내가 넣어준 입력값이 최적의 값을 주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입력변수가 하나가 아니고, 여러개이고, 만약 범위가 넓다면? 게다가 함수까지 복잡해서 한번 함수(모델)를 계산하는데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면? 사실상 이런 방법으로는 최적화가 불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random search, grid search 같은 방법은 입력 변수가 많아질 경우 가능한 조.. 2021. 11. 2.
[OpenFOAM] 수치적 이산화 기법 (Numerical Discretization Scheme) 유체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한 지배방정식(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을 풀기 위해서는, 차분화(discretization)가 필요함. 즉, 미분식의 근사치를 구하기 위해 연속적인 물리 공간을 컴퓨터가 계산할 수 있는 유한한 간격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법임. 미분방정식을 대수방정식으로 바꾸어주는 과정! system/fvSchemes에서는 이산 기법을 설정할 수 있음. 파일에서는 각 scheme과 type을 확인/설정할 수 있다. 1. ddtSchemes 시간 항을 이산화하는 기법이다. 즉, 시간에 따라 물리량이 적분되는 방법을 정의한다. 기법 종류에 따라 전 time step에서의 값이 필요할 수도 있다. 종류: steadyState, Euler, backward, CrankNicol.. 2021. 10. 30.
[OpenFOAM] 솔버 구성 / 0 폴더 / Boundary conditions 솔버 설정 시 계산 시작 시간이 0이기 때문에 초기 조건과 경계조건을 0 폴더에서 설정할 수 있음. 0 폴더 내에서 각 region에 해당하는 폴더 내에는 계산에 사용되는 field에 대한 파일이 존재함. 예를 들어, 비압축성 난류 유동의 경우, U (속도), p (압력), k, epsilon, .... 등의 파일이 있음. 다음은 기본적인 boundary condition의 예시와 설명이다. fixedValue 고정된 값을 설정할 때 사용. 예를 들면, 유체가 주입되는 초기 속력을 설정할 때 사용. zeroGradient boundary condition이 설정된 patch의 가장 가까운 cell의 값으로부터 값을 외삽하는 방법. 예를 들면, 유로를 통과하고 유체가 나오는 outlet에서의 속도가 반응,.. 2021. 10. 30.